크루즈 컨트롤 단계별 기능 총 정리

크루즈 컨트롤 기능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고급 옵션 이었지만 요즘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기능입니다. 그런데 크루즈 컨트롤 옵션이 탑재되어 있지만 정확한 기능과 사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 활용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크루즈 컨트롤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크루즈 컨트롤


크루즈 컨트롤

기본적으로 크루즈 컨트롤이란 운전자가 엑셀 패달을 밟지 않아도 설정해 놓은 속도로 일정하게 차량이 움직이게 하는 기능입니다. 이런 속도 유지 기능을 기본으로 더 나아가 다른 고급 기능들도 탑재된 크루즈 컨트롤이 있습니다.


  1. 크루즈컨트롤(CC)

우선 가장 낮은 단계의 크루즈컨트롤(CC) 기능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단순하게 설정한 속도로 일정하게 달리기만 하는 것으로, 차량 핸들에 아래와 같은 스위치가 있다면 크루즈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본 크루즈 컨트롤(CC)은 앞 차와의 간격을 신경쓰지 않는데, 주행 중 앞차와 가까워지면 직접 설정 속도를 낮추거나 브레이크를 밟아야 합니다. 또한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크루즈 컨트롤 기능이 꺼지기 때문에 다시 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 유동이 없는 한적하고 긴 도로를 달리는 것이 아니라면 사용하기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1. 스마트 크루즈컨트롤(SCC)

기본 크루즈컨트롤보다 한 단계 위의 단계는 스마트 크루즈컨트롤 입니다. 앞차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앞차와의 거리를 따로 설정할 수 있는데, 앞차와의 거리가 설정한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속력을 줄이고, 반대로 멀어지면 설정된 속도까지 속력을 올립니다.

이렇게 거리 유지 기능까지 포함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장거리 운행을 굉장히 편리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1. 어댑티드 스마트 크루즈컨트롤(ASCC)

앞서 살펴본 스마트 크루즈컨트롤까지는 일정 속도 이하로 내려가면 크루즈 기능이 자동으로 종료되는데, 어댑티드 단계부터는 크루즈 기능이 꺼지지 않고 앞차가 정지하면 따라서 정지합니다.

그리고 앞차가 출발할 경우 엑셀을 살짝 밟아주거나 속도 조절 버튼을 한 번 건드리면 다시 알아서 주행을 이어갑니다.

게다가 이 단계에서는 고속도로 주행보조 기능(HDA)까지 추가되는데, 고속도로에서 크루즈컨트롤과 함께 차로유지보조 기능을 켜면 자동으로 고속도로 주행보조 기능(HDA)이 동작합니다.

고속도로 주행보조 기능은 차량에 기본 탑재된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먼저 단속카메라 앞에서 자동으로 속도를 제한속도에 맞춥니다. 단속카메라를 지나면 다시 설정했던 속도로 올리며, 구간단속 구간도 마찬가지로 단속구간 내내 제한속도로 맞추어 주행합니다.

또한 HDA 기능이 켜져 있을 때는 앞차가 완전히 멈춘 후에 다시 출발할 때 엑셀을 밟거나 속도 조절 버튼을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출발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